9 결론 및 제언
10 효과적인 보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언
이 챕터의 목표
- R 시각화 학습 여정 회고
- 효과적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원칙
- 추가 학습 자료 및 커뮤니티
10.1 8.1 학습 여정 회고
(내용 추가 예정 - PDF 페이지 24-25)
우리는 다음 여정을 거쳤습니다:
-
ggplot2 기본 문법 (Ch 1-2)
- 그래픽 문법의 7가지 구성 요소
- aes(), geom, facet
-
역학 특화 시각화 (Ch 3-4)
- 유행 곡선 (incidence2)
- 연령 표준화 비율 (surveil)
- 공간 역학 (sf, tmap)
-
임상통계 시각화 (Ch 5)
- 생존 분석 (ggsurvfit)
- 메타 분석 (metafor)
-
출판 및 공유 (Ch 6-7)
- 출판 품질 (patchwork, ggpubr)
- 대화형 대시보드 (Shiny)
10.2 8.2 효과적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원칙
(내용 추가 예정 - PDF 페이지 25)
10.2.1 8.2.1 목적에 맞는 도구 선택
🎯 시각화 목적에 따른 선택
| 목적 | 도구 | 예시 |
|---|---|---|
| 탐색 (Exploration) | 빠른 ggplot | EDA, 데이터 이해 |
| 설명 (Explanation) | 출판 품질 ggplot | 논문 Figure |
| 상호작용 (Interaction) | Plotly, Shiny | 대시보드, 웹앱 |
10.2.2 8.2.2 통계적 정확성
⚠️ 반드시 피해야 할 함정
-
연령 구조 미보정: 조(Crude) 비율의 함정
- ✅ 해결: 연령 표준화 비율 (Ch 3.3)
-
SE vs CI 혼동: geom_errorbar의 책임
- ✅ 해결: 올바른 통계량 선택 (Ch 5.3)
-
축 조작: 0부터 시작하지 않는 y축
- ✅ 해결:
scale_y_continuous(limits = c(0, ...))
- ✅ 해결:
10.2.3 8.2.3 재현 가능한 연구
10.3 8.3 추가 학습 자료
10.3.1 8.3.1 필수 도서
-
Wickham, H. & Grolemund, G. (2017). R for Data Science
- https://r4ds.hadley.nz/
- 📌 데이터 과학 전반
-
Wickham, H. (2016). ggplot2 Book
- https://ggplot2-book.org/
- 📌 ggplot2 완전 정복
-
Batra, N. et al. (2021). The Epidemiologist R Handbook
- https://epirhandbook.com/
- 📌 역학 실무 R
10.3.2 8.3.2 온라인 리소스
시각화 갤러리: - R Graph Gallery - From Data to Viz
커뮤니티: - RStudio Community - Stack Overflow - R tag
10.3.3 8.3.3 특화 패키지
계속 발전하는 R 생태계:
10.4 8.4 커뮤니티 참여
10.4.1 8.4.1 질문하기
- Stack Overflow에 재현 가능한 예제(reprex) 제공
- RStudio Community에서 토론
- GitHub Issues에 버그 리포트
10.4.2 8.4.2 기여하기
- 오픈소스 패키지 개발 참여
- 블로그 글 작성
- 튜토리얼 번역
10.5 8.5 최종 체크리스트
10.6 8.6 마치며
데이터 시각화는 기술이자 예술이며, 무엇보다 소통입니다.
이 책에서 배운 R 시각화 기법들이 여러분의 연구 결과를:
- 🔍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
- 📊 더 설득력 있게 전달하며
- 🌍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데
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📬 연락하기
- 이메일: your-email@example.com
- GitHub: github.com/your-repo
- 웹사이트: your-website.com
질문, 피드백, 개선 제안을 언제든 환영합니다!
🎉 축하합니다!
R 기반 보건학 시각화 과정을 완료하셨습니다!
이제 여러분은 ggplot2부터 Shiny까지, 보건학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셨습니다.
계속해서 배우고, 실습하고, 공유하세요! 🚀